링크 파일의 링크는 하드 링크와 심볼릭 링크로 나뉜다. 🤨 inode란? inode는 리눅스/유닉스의 파일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자료구조로, 파일이나 디렉터리의 여러가지 정보가 있다. 모든 파일이나 디렉터리는 각자 1개씩의 inode가 있으며, 각 inode에는 해당 파일의 소유권, 허가권, 파일 종류 등의 정보와 해당 파일의 실제 데이터 위치(주소)도 있다. 이러한 inode가 모여 있는 공간이 inode 블록이며, 일반적으로 전체 디스크 공간의 1% 정도를 차지한다. Data 블록은 실제 데이터가 저장된 디스크 공간으로 전체 디스크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하드 링크를 생성하려면 ln 링크대상파일이름 링크파일이름 명령을 실행한다. 원본 파일이 inode1을 사용할 때 하드 링크를 생성하면 하드링크파일만 하..
root 사용자가 홈 디렉터리에서 touch sample.txt 명령으로 빈 파일을 만들고 ls -l 명령을 실행하면 다음과 같이 나타난다. 파일 유형 디렉터리 : 'd' 일반적인 파일 : '-' 그 외에 b(블록 디바이스), c(문자 디바이스), l(링크) 등이 있다. 파일 허가권 rw-, r--, r-- 3개씩 끊어서 인식하면 된다. r w x read write execute 4 2 1 첫번째 rw- 는 소유자의 파일 접근 권한, 두번째 r--는 그룹의 파일 접근 권한, 세번째 r--는 그 외 사용자의 파일 접근 권한이다. 아래 표는 sample.txt의 파일 허가권을 표현한 것이다. 소유자 (User) 그룹 (Group) 그 외 사용자 (Other) r w - r - - r - - 4 2 0 4 ..
adduser 새로운 사용자를 추가 /etc/passwd, /etc/shadow, /etc/group 파일에 새로운 행이 추가됨 adduser newuser1 새 UNIX 암호 입력 : 새 UNIX 암호 재입력 : 이름 [ ] : 방 번호 [ ] 직장 전화번호 [ ] 집 전화번호 [ ] 기타 [ ] 정보가 올바릅니까? [Y/n] newuser1 이라는 이름의 사용자 생성 암호 생성 다시 입력 전체 이름 입력 (생략 가능) 사무실 호실 (생략 가능) 회사 전화번호 (생략 가능) 집 전화번호 (생략 가능) 기타 내용 (생략 가능) 확인 (엔터) adduser --uid 1111 newuser2 newuser2 사용자를 생성하면서 사용자 ID를 1111로 지정 adduser --gid 1000 newuser3..
ls list의 약자로 Windows의 dir 명령과 같은 역할 해당 디렉터리에 있는 파일의 목록 나열 ls 현재 디렉터리의 파일 목록 ls /etc/systemd /etc/systemd 디렉터리의 목록 ls -a 현재 디렉터리의 목록 (숨김 파일 포함) ls -l 현재 디렉터리의 목록을 자세히 보여줌 ls *.conf 확장자가 conf인 목록을 보여줌 ls -l /etc/systemd/b* /etc/systemd 디렉터리에 있는 목록 중 앞 글자가 'b'인 것의 목록을 자세히 보여줌 cd change directory의 약자로 디렉터리를 이동하는 명령어 cd 현재 사용자의 홈 디렉터리로 이동 (ex. 현재 사용자가 root이면 '/root' 로) cd ~ubuntu ubuntu 사용자의 홈 디렉터리로 ..
가상 콘솔 우분투는 총 6개 (2번~7번)의 가상 콘솔을 제공한다. 물리적인 컴퓨터 1대에서 모니터 7개가 연결된 것 Ctrl + Alt + F2~f7 로 각각의 콘솔을 이동할 수 있다.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리눅스에 접속해 있을 때 시스템 종료 👩🏻💻 step1 - shutdown 명령 Server 가상머신 실행 후 Ctrl + Alt + F3 을 누르면 3번째 가상 콘솔이 나온다. server login은 root, 암호는 password로 접속한다. tty3 은 3번째 콘솔을 의미한다. Ctrl + Alt + F4 를 눌러서 4번째 가상콘솔 ubuntu 사용자 (암호는 ubuntu) 다시 Ctrl + Alt + F3를 누르고 shutdown -h +5 명령 (5분 후에 시스템을 종료) 4번 가상 ..
Kubuntu 리눅스를 Client 가상머신에 설치 👩🏻💻 step1 - Client에 iso 파일 넣기 kubuntu-20.04.3-desktop-amd64.iso 파일을 선택한다. 👩🏻💻 step2 - Client 가상머신 부팅 암호도 'ubuntu'로 입력한 후 - 설치를 완료한 후 Client를 재부팅한다. - 재부팅 후 엔터를 누르면 설치가 완료되고 ubuntu 사용자로 자동 로그인 된다. 👩🏻💻 step3 - 화면 해상도 조절 [시스템 설정] - [디스플레이와 모니터] - [해상도]에서 해상도를 1024x768로 조절한다. 👩🏻💻 step4 - 쿠분투 20.04 LTS의 초기 패키지만 설치되도록 설정 (Server 가상머신에서 설정한 것과 동일) 바탕화면 왼쪽 아래 [프로그램 실행기] ..
우분투 서버용 ISO 파일을 Server(B) 가상머신에 설치하기 👩🏻💻 step1 - Server(B)에 iso 파일 넣기 ubuntu-20.04-live-server-amd64.iso 파일을 선택한다. 👩🏻💻 step2 - 가상머신 부팅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오면 English를 선택하고, 계속 [Done] 혹은 [Continue]를 누르면서 진행한다. 👩🏻💻 step3 - 로그인 server-b login과 Password에 각각 'ubuntu'를 입력하고 로그인한다. 👩🏻💻 step4 - 우분투 20.04 LTS의 초기 소프트웨어만 설치되도록 설정 파일 이름을 sources.list.bak 으로 변경한다. 새로운 sources.list를 다운로드한다. 변경한 내용을 sudo apt updat..
Server 설치하기 우분투 리눅스를 설치하는 가장 쉽고 일반적인 방법은 DVD를 이용하는 것이다. 우분투 리눅스를 Server 가상머신에 설치한다. 👩🏻💻 step0 - Ubuntu 20.04 LTS 설치 DVD ISO 파일 다운로드 교재에서는 Ubuntu Desktop 20.04 LTS (64bit), Ubuntu Server 20.04 LTS (64bit), Kubuntu 20.04 LTS (64bit) 등 세개의 ISO를 사용할 것이다. 👩🏻💻 step1 - Virtual Machine Setting VMware Player에서 [Server] 선택 후, Virtual Machine Settings 창에서 [CD/DVD]를 선택하고 Server용으로 사용할 'ubuntu-20.04-deskto..